리눅스마스터 2급

[리마2급] 시행처 공개 모의고사 개념정리(2과목)

유금솔 2024. 2. 15. 11:30

-- 2과목 리눅스 활용 --

 

49.

GNOME 초기에는 nautlus 파일 관리자 GNOME 2에는 metacity 윈도 매니저, GNOME 3에는 Mutter(GNOME Shell) 윈도우 매니저를 사용한다. KWin은 KDE에서 윈도우 매니저로 사용하고 있다.

 

50.

윈도우 매니저는 창 열기, 창의 생성 위치, 창 크기 조정, 창의 외양과 테두리를 변화시킨다.

 

51.

윈도 매니저 : X 윈도 환경에서 윈도우의 배치와 표현을 제어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디스플레이 매니저 : X Windows 시스템상에서 작동하는 소프트웨어

파일 관리자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파일 시스템과 함께 동작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52.

xauth : .Xauthority 파일의 쿠키 내용을 추가, 삭제, 리스트를 출력하는 유틸리티로 X-window 실행 시에 생성되는 키 값으로 인증한다.

xhost : 호스트 기반 인증 방식을 사용하기 위한 유틸리티이다.

Gdm : GNOME의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

 

53.

GIMP는 GNOME의 이미지 편집, 변환, 생성 프로그램이다.

 

54.

xhost는 DISPLAY 환경 변수로, X 서버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표시되는 클라이언트 주소를 지정한다.

 

55.

LibreOffice Impress :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56.

명령어 xauth list $표시장치명은 지정된 표시장치의 쿠키 값을 확인할 수 있다.

 

57.

데이터의 전송 순서 및 동기점 위치를 제공하는 것은 세션 계층이다.

 

58.

1계층 PDU는 비트, 2계층 PDU는 프레임, 3계층 PDU는 패킷이다. 4계층 PDU는 세그먼트이며, 5~7계층 PDU는 메시지 또는 데이터이다.

 

59.

T568A 배열의 순서 : 흰색/녹색, 녹색, 흰색/주황색, 파란색, 흰색/파란색, 주황색, 흰색/갈색, 갈색

 

60.

IANA는 인터넷 할당 번호 관리 기관의 약자로 IP 주소, 최상위 도메인 등을 관리하는 단체이다. 현재 ICANN이 관리하고 있다.

 

61.

CSMA/CD는 이더넷 망에서 각 단말이 신호 전송을 위해 전송 공유 매체에 규칙 있게 접근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 방식이다.

 

62.

3-way handshaking은 TCP에서 가상회선을 송수신지 간에 설정하기 위한 과정이다.

 

63.

링형 : 노드의 추가 및 삭제가 용이하지 않음

버스형 : 확장성이 용이하나 문제가 발생한 노드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려움

스타형 : 중앙 컴퓨터가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 사용이 불가능

 

64.

POP3와 IMAP은 메일 수신 프로그램이며,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65.

FTP의 제어용 데이터 포트는 21번, 일반 데이터 포트는 20이다.

 

66.

Usenet : 텍스트 형태의 기사들을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공개된 공간에서 주고받아 토론할 수 있게 고안된 분산 네트워크

SAMBA : 이기종 운영체제 간에 파일이나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

TELNET :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67.

텔넷은 원격지 컴퓨터상의 파일이나 서비스를 요청하는 프토토콜이다.

 

68.

SMB : 네트워크상 존재하는 노드들 간에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

TELNET : 원격지의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터넷 프로토콜

Usenet : 텍스트 형태의 기사들을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공개된 공간에서 주고받아 토론할 수 있게 고안된 분산 네트워크

 

69.

ssh의 옵션 -p는 ssh의 기본포트 22가 아닌 다른 포트로 변경하여 접속할 수 있다.

 

70.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호스트비트가 모드 1인 경우이므로 해당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2.168.3.191.

 

71.

A 클래스에 할당된 사설 네트워크 대역 : 10.0.0.0 ~ 10.255.255.255

B 클래스에 할당된 사설 네트워크 대역 : 172.16.0.0 ~ 172.31.255.255

C 클래스에 할당된 사설 네트워크 대역 : 192.168.0.0 ~ 192.168.255.255

 

72.

/etc/hosts : IP 주소와 호스트명을 매핑시켜 놓은 파일

/etc/sysconfig/network : 게이트웨이주소, 호스트명, 네트워크 허용 여부가 설정된 파일

/etc/sysconfig/network-scripts : 지정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환경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된 파일

 

73.

명령어 ip는 ip 관련 정보 조회 및 설정에 관련되어 있다. ifconfig 명령어와 조회 결과가 유사하나 링크(link), 라우트(toute), io address 등 컴퓨터상의 네트워크에 관한 광범위한 정보 조회가 가능하다. 명령어 ip의 형식은 ip [옵션] [대상] [command]이며, 명령어 ip의 대상으로 eth0 또는 show를 정의할 수 없다.

 

74.

ss는 네트워크 상태 확인 명령어이며 netstat의 대체 명령어로, IP 주소와 포트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75.

tracepath 또는 traceroute는 지정한 호스트(호스트명 또는 IP주소)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경로를 표시한다.

 

76.

arp : ip 주소를 기반으로 MAC 주소를 조회하는 명령어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거나 확인하는 명령어

netstat : 현재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77.

고가용성이란 가용성이 높다는 뜻으로, 절대 고장나지 않음을 의미한다.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주노드와 백업노드를 두어 주노드에 문제가 발생 시 백업노드가 주노드 역할을 대행함으로써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한다.

 

78.

Raspberry Pi : 라즈베리 파이 재단이 학교와 개발도상국에서 기초 컴퓨터 과학의 교육을 증진시키기 위해 개발한 신용카드 크기의 싱글 보드 컴퓨터

Micro Bit : 오픈소스 하드웨어 ARM 기반 임베디드 시스템

Cubie Board : 신용카드 사이즈의 미니 PC

 

79.

Tizen : 인텔과 삼성을 주축으로 만든 리눅스 기반의 무료 공개형 모바일 운영체제

BlackBerry : 2022년에 캐나다의 블랙베리가 개발한 스마트폰

QNX : 1982년에 개발한 유닉스 계열의 서버 운영체제

 

80.

LXC와 Docker는 컨테이너 엔진이며, VirtualBox는 하이퍼바이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