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02. 22. 리눅스 활용 - 인터넷 활용(네트워크 개념)
- 네트워크 통신망 종류
- LAN : 빌딩 내 혹은 근접한 거리의 빌딩들로 제한된 지역에 설치된 정보 기기들 사이의 고속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 MAN : LAN보다는 큰 규모를 가지지만 WAN보다는 지리적으로 작은 규모에서 컴퓨터 자원들과 호스트들을 연결하는 도시권 통신망이다.
- WAN : 국가, 대륙 등과 같이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 SAN : 스토리지를 위해 고안된 스토리지 전용 고속 네트워크이다.
- LAN 토폴로지
- 성형 : 중앙 컴퓨터에 여러 대의 컴퓨터가 허브 또는 스위치와 같은 장비로 연결
- 망형 : 모든 노드가 서로 일대일로 연결된 형태
- 버스형 : 하나의 통신회선에 여러 컴퓨터를 연결해서 전송
- 링형 : 각 노드가 좌우의 인접한 노드와 연결되어 원형을 이룬 형태
- 트리형 : 버스형과 성형 토폴로지의 확장 형태
- LAN 구성 장비
- 케이블 : 보호 외피나 외장 안에 두 개 이상의 전선이나 광섬유로 묶여 있는 것이다.
- 리피터 : 신호의 재생 및 증폭 기능을 수행하여 물리적인 거리를 확장시킨다.
- 허브 : 신호를 노드에 전달해 주는 장비이다.
- LAN 카드 :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되는 확장 카드이다.
- 브릿지 : 모든 수신 프레임을 일단 버퍼에 저장하고, 주소에 따라 목적지 포트로 프레임을 전달하는 장비이다.
- 스위치 : 소프트웨어 기반인 처리 방식으로 브릿지보다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한다.
- 라우터 : 서로 다른 통신망과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 게이트웨이 : 서로 다른 통신망이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를 통칭한다.
- OSI 7 모델
- 7. 응용 계층 : 사용자에게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User Interface를 제공, UI로 데이터를 생성
- 6. 표현 계층 : 부호화, 압축, 암호화
- 5. 세션 계층 : 종단 간 애플리케이션들의 연결 설정, 유지, 해제
- 4. 전송 계층 : 종단 간 연결, 응용 계층 사이에 논리적인 통로 제공
- 3. 네트워크 계층 : 논리적인 주소를 사용, 경로 관리, 최적 경로 결정
- 2. 데이터링크 계층 :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형식 결정
- 1. 물리 계층 : 물리적인 연결,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 절차적인 수단 제공
- 계층별 프로토콜
- 형식(Syntax : 문법, 구문) : 데이터 포맷(형식), 부호화 및 신호 레벨 등
- 의미(Semantic) : 특정 패턴을 어떻게 해석하고, 어떤 동작을 할 것인가 결정
- 순서(Timing) : 속도 일치 및 순서 제어 등
- 전송 계층 프로토콜
- LISTEN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오는 패킷을 위해 소켓을 열고 기다리는 상태
- SYN_SENT : 로컬에서 원격으로 연결 요청(SYN 신호를 보냄)을 시도한 상태
- SYN_RECEIVED : 서버 시스템이 원격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을 요구 받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했지만, 아직 클라이언트에게 확인 메시지를 받지 않은 상태
- ESTABLISHED : 클라이언트로부터 관련 요청을 받아 3 - Way Handshaking이 완료된 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연결된 상태
- IPv4 주소체계
- IPv4 주소는 4개의 옥텟(octet)으로 구성된다.
- 각 옥텟은 8비트이므로 IPv4는 총 32비트이다.
- IP 주소는 5개의 클래스 A, B, C, D, E로 구분한다.
- 클래스 E는 240~255 사이의 대역에 있으며 IP 주소 부족을 위해 예약해 놓은 것이다.
- IP 주소는 네트워크 ID(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ID(네트워크 내 호스트 주소)로 구성되어 있다.
-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을 구분해 주는 값이다. 이것은 효율적인 네트워크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 특수 네트워크 주소
- Network 주소 : 호스트 ID(호스트 비트)의 주소가 모두 0인 주소
- Direct Broadcast 주소 : 호스트 ID(호스트 비트)의 주소가 모두 1인 주소
- Limited Broadcast 주소 : 255.255.255.255
- Loopback 주소 : 127.0.0.0 ~ 127.255.255.255
- 0.0.0.0 : 부팅 시 자신의 IP 주소를 모를 경우 사용
- 사설 IP 주소 : 공식적인 승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주소, A 클래스 10.0.0.0 ~ 10.255.255.255, B 클래스 172.16.0.0 ~ 172.31.255.255, C 클래스 192.168.0.0 ~ 192.168.255.255
'리눅스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마2급] 리눅스 활용 - X-Windows (2) | 2024.02.20 |
---|---|
[리마2급] 시행처 공개 모의고사 개념정리(2과목) (1) | 2024.02.15 |
[리마2급] 시행처 공개 모의고사 개념정리(1과목) (2) | 2024.02.13 |
[리마2급] PPT 자료 정리 (1) | 2024.02.01 |
[리마2급] 최종 정리 및 시험 결과! (1)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