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터페이스에서 down 옵션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비활성화된다.
2. 메인프레임은 배포판 설치 시 지원하지 않는다.
3. grep의 -v/--invert-match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포함하지 않는 라인만 출력할 수 있다.
4. grep -r linuxmaster *는 해당 디렉토리부터 하위 디렉토리까지 linuxmaster라는 문자열을 포함한 파일을 찾는 명령이다.
5. Minix는 교육용 유닉스로 리눅스 개발의 시발점이 된 운영체제이다.
6. -f:shutdown은 재부팅할 때 fsck 명령어를 건너띄고, 부팅을 빠르게 진행한다.
7. 현재 접속되어 있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되는 명령어 - wall
8. cmp는 compare의 약어로서 두개의 파일이 어떤 부분이 다른가를 비교할 때에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9. -R - 위치한 디렉토리 하부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모두 출력한다.
-d - 비어있는 디렉토리들만 제거한다.
-D - emacs를 위한 출력행태를 생성한다.
10. -i -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
11. reboot는 재부팅하는 명령어이다.
12. 리눅스 커널은 SHELL로 작업되었다.
13. -al - 숨긴 파일까지 모두 조회하되 파일 권한, 크기 등 모든 데이터를 출력한다.
14. 리차드 스톨만 - FSF의 설립자로서 GNU를 이끌면서 리눅스의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사람
15. mount - 리눅스에서 다른 파일 시스템을 현재 디렉토리에 임시로 연결하는 작업이다.
mmd - MS-DOS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디스크에 디렉터리를 만들 때 사용된다.
close - open이나 creat에 의해 열려진 파일을 닫는다.
16. ISO - 여러 나라에 있는 표준 제정 단체에서 뽑힌 대표로 이루어진 표준화 기구이다.
ANSI - 미국의 산업 표준을 제정하는 민간단체이다.
IETF - 인터넷의 운영, 관리, 개발에 대해 협의하고 프로토콜과 구조적인 사안들을 분석하는 인터넷 표준화 작업기구이다.
17. put - 로컬의 파일을 ftp 서버로 올린다.
mput - ftp 서버에 한 번에 여러 파일을 전송한다.
get - ftp 서버에서 파일을 내려받는다.
18. x는 사용자의 패스워드가 /etc/shadow에 암호화되어 저장 되어있다는 뜻이다.
19. HURD는 GNU에서 독자적으로 만든 커널이다.
20. GNU - 리눅스를 기반으로 한 운영체제이며 이는 리눅스를 커널로 채택한 일종의 변형된 종류의 GNU 시스템이다.
21. vi 에디터 - 유닉스 계열 환경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오픈 소스 문서 편집기이며, 따로 설치를 해야 한다.
22. 다중 사용자 모드에서 수행할 수 있다.
23. useradd -f - 패스워드의 만기일을 날짜 수로 지정한다.
24. /etc/passwd - 시스템에 등록된 사용자의 정보들이 담겨있는 파일이다.
/etc/shadow - 암호화된 패스워드와 패스워드 설정 정책이 기재되어 있다.
/etc/environment - 모든 프로세스에 대해 기본 환경을 지정하는 변수를 정의한다.
25. << - 이 기호는 없고 >>는 파일 내용에 명령을 추가한다.
< - 파일 내용을 바꾸거나 내용을 추가할 때 사용하지 않는다.
> - 파일 내용을 명령으로 바꿔준다.
26. Redhat 계열의 배포판 외에도 제공된다.
27. PATH에 프로그램 실행 경로를 추가해주면, 명령어 실행 시 경로를 따로 입력하지 않아도 PATH 환경변수에 있는 디렉토리에서 실행파일을 찾아 실행해준다.
28. Boot.img - 리눅스 설치 부팅 디스크를 만들 때 사용되는 부팅 이미지이다.
29. boot=/dev/hda - LILO가 설치될 위치이다.
29-1. timeout = 10 - 10초 동안 대기한 후에 기본 설정된 운영체제로 부팅한다.
30. ls - list의 줄임말로 현재 위치나 특정 경로의 디텍토리 내용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31. /include는 디렉토리 바로 하단에 위치하는 디렉토리가 아니다.
32. cat nofile 2> error_log_file - 오류 메시지를 파일로 저장하기 위한 방향 재지정 명령이다.
33. LILO는 컴퓨터 바이오스(BIOS)의 정보를 참조한다.
34. mcopy - 리눅스-도스 간의 파일복사이다.
35. -c - 사용자의 간단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변경한다.
-e - 계정 만기일 변경이다.
-u - 사용자의 UID 값 변경이다.
36. / - 크기가 작은 파일들이 있는 디렉토리를 포함한다.
37. 파티션.Disk Druid - 하나의 디스크를 몇 개의 드라이브로 분할하여 사용할지 설정하는 것이다.
38.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이며,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으로 IP 주소, Gateway 주소, Name Server 주소 등을 할당해 주는 서버를 말한다. 보통 가정에서 ISP 업체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9. ping -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telnet - 원격 호스트와 텍스트 기반의 통신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ftp - 원격 네트워크에서 또는 원격 네트워크로 파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다.
40. UNIX 운영체제를 모델로 만든 운영체제이다.
41. find -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grep - 특정 파일에서 지정한 문자열이나 정규표현식을 포함한 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ping -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42. ipconfig - ipconfig는 없는 명령어이다.
xconfig - x윈도우 환경 명령어이다.
iptable - 방화벽을 설정하는 도구이다.
43. ls-al | cat - 여러 파일의 내용을 하나로 합쳐주는 역할을 하는 명령어이다.
ls-al | screen -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가상 터미널을 띄워주는 명령어이다.
ls-al | page - 페이지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44. clear - 터미널의 내용을 모두 지우는 명령어이다.
delete - 없는 명령어이다.
mv - move의 줄임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이동시킬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45. man - 각종 명령어와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46. sweep - 리눅스에는 없는 명령어이다.
swap - 가장 메모리를 작동하는 저장 장치의 전용 공간이다.
more - 긴 파일을 한 페이지씩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47. 하나의 하드 디스크에 최대 네 개의 primary 파티션을 만들 수 있다.
48. 배포판 회사에서는 개발 작업이 금지되지 않았다.
49. /op - 디렉토리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다.
50. /home -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가 위치하는 디렉토리이다.
'리눅스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마2급] 시행처 공개 모의고사 개념정리(2과목) (1) | 2024.02.15 |
---|---|
[리마2급] 시행처 공개 모의고사 개념정리(1과목) (2) | 2024.02.13 |
[리마2급] PPT 자료 정리 (1) | 2024.02.01 |
[리마2급] 최종 정리 및 시험 결과! (1) | 2024.01.31 |
[리마2급] 기출문제 1회 완벽하게 풀어보기 (3)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