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존의 경로(PATH)에 /etc라는 새로운 경로를 추가하였다.
2. 미묘한 지오메트리(geopetry) 불일치에 의해서 또는 Map Installer 실행없이 /boot/map이 이동되어 두 번째 부트섹터 로더가 잘못된 주소로 로드되었다.
지오메트리(geometry) - 그래픽 서브시스템과 GUI 환경을 나타낸다.
Map Installer - 사용자 정의 지도 설치 관리자
부트섹터 로더 -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운영체제의 커널을 메모리에 올려 실행시키는 시스템 프로그램이다.
3. LVM - 커널에 구현된 기능으로 여러 개의 HDD 용량을 합쳐서 하나의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고 스토리지 확장 및 변경에 있어 유연한 대처를 할 수 있다.
RAID - 여러 개의 디스크를 배열하여 속도의 증대, 안정성의 증대, 효율성, 가용성의 증대를 하는데 쓰이는 기술
ext3 - 세 번째 확장 파일 시스템을 나타낸다.
ext4 - ext2에 대한 이전 버전과 호환되는 일련의 확장이자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을 위한 파일 시스템이기도 한다.
4. cd nome
5. 시스템에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을 조회하고 있다.-> #users
6. 처음 설치 시 분할한 파티션은 사용 중에 변경할 수 없다.
파티션 - 디스크 공간의 분할
7. New password : 프롬프트에서 암호를 입력하면, 화면상에 입력한 암호가 표시되지 않는다.
8.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 - 이 옵션을 선택하면 그래픽 설치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RHEL을 설치하게 된다.
Install system with basic video driver - 설치 프로그램이 시스템에 있는 비디오 카드에 대한 드라이버를 불어오지 못하더라도 RHEL을 그래픽 모드에서 설치하도록 해준다.
Boot from local drive - 시스템을 최초 설치된 디스크에서 부팅하도록 한다. 만약 설치 디스크를 의도하지 않고 부팅한 경우라면, 설치 프로그램을 시작하지 않고 하드 디스크에서 부팅을 시작하려면 이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9. /usr은 파일 시스템의 주요 계층 중 하나이다.
10. cat /etc/crontab은 매시 1회 자동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크론 설정
11. 메인프레임은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속도의 처리 속도를 가졌으며 멀티유저 및 대규모 서버 인프라 구축용으로 사용되는 2m 정도의 초대형 컴퓨터이다.
12. ping -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telnet - 특성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명령어
ftp - 파일을 옮기는 방법의 명령어
13. -l - 파일들을 나열할 때 자세히 출력한다.
14. -f - 재부팅할 때 fsck 명령어를 건너뛰고 부팅을 빠르게 진행한다.
15. usermod -g IHD induser
16. 기본으로 멀티유저모드로 부팅이 가능하여 사용할 수 있다.
17. file - 지정된 파일의 종류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less - 파일의 내용을 한 화면에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find - 파일 및 디렉토리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18. 라이브러리 - 특정한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컴파일된 파일이다.
파이프 - 재지향과 더불어 리눅스의 명령어들을 훨씬 강력하게 무장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핵심 기능이다.
리다이렉션 - 명령어의 결과를 파일로 저장할 수 있게 되며 컴퓨터에서 일반적으로 입출력 등을 사용자가 지정한 위치로 우회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20. 확장 파티션은 4개 이상 설정이 가능하다.
21. ISO - 여러 나라에 있는 표준 제정 단체에서 뽑힌 대표로 이루어진 표준화 기구이다.
ANSI - 미국 국립 표준 협회 미국의 산업 표준을 제정하는 민간단체이다.
IETF -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이며 인터넷의 운영, 관리, 개발에 대해 협의하고 프로토콜과 구조적인 사안들을 분석하는 인터넷 표준화 작업기구이다.
22. -f - 시스템을 호출하지 않고 마운트할 수 있는지 점검한다.
-n - 파일에 쓰기 작업을 하지 않고 마운트한다.
-w - 읽기/쓰기 모드로 마운트한다.
23. 주 파티션 내에 생성, 하나의 물리 디스크에 1개만 생성한다.
24. 패스워드는 변경할 수 있다.
25. hdd - 하드디스크
26. Minix - 교육용 유닉스
27. | - 왼쪽 명령의 실행 결과를 오른쪽 명령의 입력으로 전달한다.
> - 기존 파일의 내용을 삭제하고 새로운 결과 저장한다.
; - 연결된 명령을 왼쪽부터 차례로 실행, 명령어가 실패하면 제외하고 차례로 실행한다.
28. Fedora - Red Hat 기반의 리눅스의 배포판이다.
RHEL - Red Hat의 오픈소스 운영 체제이다.
Slackware - 리눅스 배포판 가운데 하나이다.
29. 권한이 없어서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30. export - 기존에 존재하는 변수를 환경 변수로 만들거나 새로운 변수를 만들어 환경 변수로 사용할 수 있다.
31. ~ -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특수 문자이므로, 현재 작업 중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표시하거나 cd명령으로 이전의 디렉더리로 이동한다.
32. userdel [옵션] [계정], -r - 계정 삭제 시 모든 정보 삭제하는 옵션
33. pwd 명령어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전제 경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34. CentOS - 레드햇
SUSE - 오픈소스 리눅스
Fedora - 레드햇
35. 1 - 단일 사용자 모드
5 - X-windows로 부팅
6 - 시스템 리부팅
36. what - 명령어에 대한 간략한 기능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type - 명령 유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tail - 파일의 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지정한 행까지의 파일 내용 일부를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37. more - 긴 파일을 한 페이지씩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cat -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38. dia -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집기 프로그램이다.
netfind - 서비스를 액세스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vmware - 가상 머신을 실행하기 위한 업계 표준 데스크톱 하이퍼바이저이다.
39. 소유자는 client.c를 수정할 수 있다.
40. /etc/shadow 파일은 사용자의 uid, gid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41. 우분투 - 영국 회사인 캐노니컬에서 데비안 리눅스를 기초로 고유한 데스크톱 환경인 유니티를 사용하여 만든 배포판이다.
42. shutdown -h +10 - 메시지를 보여주고 10분 후에 종료한다.
shutdown -r 00:10 - 메시지를 보여주고 00시 10분에 재부팅한다.
shutdown -h 00:10 - 메시지를 보여주고 00시 10분에 종료한다.
43. grep -r linuxmaster *
44. find - 파일 및 디렉토리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break - break를 읽은 시점에서 바로 break가 속해 있는 반복문을 종료하는 명령어이다.
halt - 시스템을 종료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46. JFS -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다.
47. 무료나 유료 둘 다 가능하다.
49. 4개까지 가능하다.
50. ps - 프로세스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리눅스마스터 2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마2급] 시행처 공개 모의고사 개념정리(2과목) (1) | 2024.02.15 |
---|---|
[리마2급] 시행처 공개 모의고사 개념정리(1과목) (2) | 2024.02.13 |
[리마2급] PPT 자료 정리 (1) | 2024.02.01 |
[리마2급] 최종 정리 및 시험 결과! (1) | 2024.01.31 |
[리마2급] 기출문제 2회 완벽하게 풀어보기 (1) | 2024.01.25 |